[FOCUS] HMI사업단
<Host-Microbe Interaction(HMI) 사업단>
(Coordinator: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김건수)
본 사업단은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의 일환으로서 현재 3개 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농진청, 보건복지부)가 함께 참여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각 부처의 사업단은 기본적으로 숙주와 미생물간의 상호작용을 분자수준에서 이해하고, 이렇게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유해미생물을 제어함으로써 질병 등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동시에 유익 미생물균들을 발굴하고 이들이 생산하는 다양한 물질들의 유익한 생리활성을 찾아냄으로써 유익 미생물종 혹은 그들의 생산물의 실용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지향하며, 특히 21세기 들어 생명과학분야의 중요한 화두로 주목받고 있는 마이크로바이옴과 숙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심도 있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숙주-공생미생물-병원성미생물 간의 상호작용 이해를 통한 유해 미생물의 제어 및 유익 미생물 활용>
세 부처는 각 특성에 맞춰서 연구소재와 접근전략을 조금씩 달리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업단1. 소화기계통 병원성 미생물과 숙주 그리고 장내 세균총 간의 다자간 상호작용의 규명을 통하여 인간의 소화기 감염 제어를 위한 전략 수립 목표
○ 사업단2. 인간 장내미생물총과 염증 간의 상호연관성을 밝힘으로써 장내 세균 혹은 혼합제제를 이용한 염증 치료 제어기술 개발 목표
[농림축산식품부]
○ 작물과 가축 숙주(기주)를 대상으로 공생 또는 병원 미생물과의 상호작용 연구 수행
- 공생 미생물의 경우, 벼 마이크로바이옴과 소, 돼지, 개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하며, 병원미생물의 경우, 주요 공기전염 식물병원균(곰팡이, 세균)과
소 요네병 원인체(세균)의 병 발생 기작 및 병원성 인자 등을 규명함으로써 농작물과 가축의 건강 증진 및 질병의 방제 관련 기초정보와 방제기술 확보 기대
[보건 복지부]
○ 천식과 인체 호흡기계(기도)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 및 기능유전자의 연관성 분석,
중증 천식군과 정상군의 호흡기검사‧면역‧염증‧동반질환 등 임상정보와 미생물군집의 상호 관련성 연구 수행
- 만성 호흡기질환의 악화 예측지표 개발 및 치료‧중재 개선안 마련
위의 3개 부처 연구단들은 각자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에 매진함과 동시에 부처 간의 정보교환과 상호 공동연구를 위한 협력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매년 HMI 공동 워크샵을 진행하며 관련분야의 최신 정보와 각자의 연구 진행상황을 공유하고, 또한 연구관련 공동의 이슈를 논의함과 더불어
장기적인 연구방향 설정 및 공동연구 주제 도출을 위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다부처 HMI 사업단 공동 워크샵(상좌) / 2016 상반기 워크샵(상중) / 2017 하반기 워크샵(상우) /
워크샵 프로시딩 표지(하좌) / 2017 워크샵(하중) / 2018 복지부 발병기전규명연구단과의 합동 워크샵(하우), 합동 워크샵 프로시딩 표지>
본 연구단은 향후 각 부처 연구단 간의 협력체계 강화를 위하여 전체 연구내용을 병원성 미생물에 관한 연구부분과 마이크로바이옴에 관한 연구부분으로 편성하여, 각 부분에 해당하는 3개 부처 연구내용을 횡적으로 연계하여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3개 부처 HMI(Host-Microbe Interaction) 연계 방안>